6·1지방선거를 앞두고 파주지역 더불어민주당 일부 시장 예비후보들이 곤혹을 치르고 있다. 최근 지역 시민단체가 도덕성을 문제 삼으며 충분한 설명 없이 낙천대상으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해당 시민단체는 이상협 예비후보에게는 정부기관 파견 당시 성희롱과 군헬기 사적 이용, 최종환 시장에게는 가정폭력 건을 꺼내 들었다. 지난해 일부 언론 보도가 근거다. 민주당이 이번 지방선거 공천기준으로 성관련 범죄, 가정폭력 등 7가지 사항에 해당하는 예비후보는 컷오프하겠다고 천명한 이후 시민단체의 주장은 사실여부를 떠나 지역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물론 당사자들은 황당해하며 반발하고 있다.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예비후보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성희롱을 한 사실이 없고, 그로 인한 중징계도 없었다고 밝혔다. 군헬기를 사적으로 이용했다는 주장도 명백한 허위로 판명됐다고 해명했다. 최 시장은 일절 대응하지 않은 가운데, 최 시장 부인이 언론의 전화 인터뷰에 응했다. 그는 평온한 가정을 가정폭력 의혹으로 파괴하지 말라고 호소했다. 최 시장은 문제의 112 신고는 평소 아픈 딸아이가 가정폭력과는 무관하게 스트레스가 극심한 날 경찰에 신고하는 등 우발적으로 발생한 일이라고 항변했다. 최 시장은 지난해 한 잡지에 가정폭력범으로 몰려 중앙당으로부터 당원권 3개월 정지처분을 받았다. 사유는 가정폭력이 아니었다. 언론 보도로 시장으로서 품위를 손상시켰다는 물의성 징계였다. 당시 경찰청은 파주경찰서를 대상으로 최 시장 가정폭력건을 감사했지만 혐의 없음으로 결론을 내렸었다.
선출직 공무원은 일반인보다 높은 도덕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시민단체나 언론 등에 의한 혹독한 검증은 불가피하다. 그렇다고 최종 처분사실은 무시한 채 검증이라는 구실로 일각에서 제기한 의혹만으로 낙천 대상이라고 지목하는 건 무리가 있어 보인다.
시민들에게 알려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하는 검증이 목적이라면 주장을 제기하는 쪽의 의견은 물론 당사자 반론이나 해명도 균형 있게 알려줘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선거개입이자 명백한 위법행위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대결 유도가 더 합리적인 검증방식이라는 사실에 무게가 실리는 까닭이기도 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