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신속 PCR 검사 중단…왜?

여주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했던 신속(현장) 유전자 증폭검사(PCR)를 중단했다. 사진은 시청 주차장에 컨테이너 형태로 운영돼온 현장 PCR 검사소(나이팅게일센터) 전경. 여주시 제공

여주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했던 신속(현장) 유전자 증폭검사(PCR)를 중단했다.

이항진 시장은 최근 열린 온라인 영상회의를 통해 그동안 진행해왔던 신속PCR검사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여주시는 코로나19 초기부터 정부와는 별도로 신속PCR검사소를 설치하고 전염병 예방과 시민의 안전한 삶을 돕기 위해 시청과 가남읍 등지에 임시 검사소를 설치해 운영해왔다.

하지만 특정 시약업체에 위탁해 응급환자 등을 대상으로 긴급사용이 승인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1년3개월여 동안 전체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했지만, 시의회가 제동을 걸면서 사실상 마침표를 찍게 됐다. “시민 누구나 무료로 검사받아야 한다”는 애초 취지와 달리, 예산 낭비와 지침 위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앞서 지난 1일 열린 시의회 임시회에선 검사실 운영예산 6억2천200만원을 전액 삭감했다. 이에 따라 시청 주차장에 컨테이너 형태로 운영돼온 현장 PCR 검사소(나이팅게일센터)는 지난달 31일 마지막 운영됐다. 지난 2020년 12월 관련 조례 제정 이후 첫 중단이다.

이 시장은 “재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며 “현장 PCR 검사가 긍정적 성과를 냈으나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진단은 의료행위라며 시약업체가 위탁 운영 중인 나이팅게일센터 판정결과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

여주시 신속PCR은 현장에서 진단검사가 이뤄져 1시간 안팎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지만 정확도는 일반 PCR 검사보다 떨어진다는 평가다. 특히 나이팅게일센터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운영해 응급환자나 6시간 이내 사망 가능성이 큰 사람 등으로 한정된 현장 PCR검사의 도입 지침과도 거리가 있다.

시는 신속PCR 사업체에 최근까지 46억5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난해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예산낭비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시의원 A씨는 “코로나19 선별검사를 정부가 무료로 진행, 예산을 절감하는데, 여주시는 신속PCR 검사를 고집하고 있다”며 "“A업체가 제공한 코로나19 신속 PCR 검사는 응급용인데 계약을 유지하는 건 문제가 많아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항진 시장은 “시민의 안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내린 결정으로 오직 시민을 위한 신뢰행정인데 시의회가 예산을 삭감, 더이상 진행할 수 없어 안타깝다" 며 “정부는 조속히 여주시의 검사실을 인증하고 다른 지자체가 이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