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해양수산부의 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 축소 움직임에 반발하고 나섰다.
평택시가 이곳에 추진 중인 문화·관광·숙박·공동주택 기능을 갖춘 도심조성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평택시발전협의회. 평택항바로세우기운동본부 등 12개 시민사회단체는 7일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986년 개항한 평택항은 지난 2000년 컨테이너 화물처리를 시작, 현재 화물 1억t, 컨테이너 화물 90만TEU, 자동차 화물 140만대 이상을 처리 중”이라며 “그러나 부산·인천항 등과 달리 항만배후 도심지가 없어 인력확보 어려움과 높은 인건비로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실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평택에선 지난 2015년부터 주거·레저·관광 등 기능을 포함한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위해 노력해왔고 현재 민간사업자가 사업참여 의향을 갖고 해수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며 “뜬 금 없는 2종 항만배후단지 축소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마땅히 평택 시민이 요구해온 해양생태공원 조성과 항만배후단지 조기개발 등이 반영돼야 한다”며 개발면적 축소 반대, 조속한 개발 지원 등을 촉구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달 4일 제4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수립 중간보고회를 열고 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를 183만8천㎡에서 59만5천㎡로 축소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