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도시철도 운영 민간위탁 종료後 별도 공기업 설립 ‘가닥’

김포시가 김포도시철도 운영을 현행 민간위탁 종료 후 별도 공기업을 설립해 운영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7일 김포시에 따르면 현재 김포도시철도의 서울교통공사 위탁운영 종료(2024년 9월) 후 운영방안 수립을 위해 김포도시철도 운영효율화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앞서 지난 2019년 9월부터 2년6개월여 동안 운영해온 민간위탁방식은 중장기적 관리·운영체계 미흡으로 향후 운영비 증가와 김포시 관리·감독 한계 등이 지적됐다.

특히 민간위탁으로 고객 및 민간위탁 운영사 등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즉각 대응이 어렵고 운영조직의 경직성과 고용불안 등으로 철도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돼 왔다.

연구용역을 통해선 기존 방식의 민간위탁 운영을 비롯해 신규 공기업 설립, 김포도시관리공사 운영 등 다양한 방안들이 비교 분석됐다.

시는 이를 토대로 최근 중간보고회를 열어 도시철도를 운영할 신규 공기업 설립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가칭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안)을 마련, 관련 규정에 따른 후속절차에 들어갔다.

도시철도공단 설립은 예산 절감과 공공성 확보, 안정적 운영, 경영수지 분석,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검토됐다.

시는 설립안이 마련된 만큼 오는 2024년 9월 민간위탁 운영이 종료되기 전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 경기도 협의, 시의회 보고 등 차질 없이 추진해 안정적인 공기업 운영으로 전환되도록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인구 50만 대도시 진입과 함께 도시철도 역할과 격자형 철도망 확보 등이 중요해졌다”며 “공기업 설립과 차량 추가 제작 투입 등 차질 없이 추진, 도시철도의 안정적 운영과 확실한 출·퇴근길 불편 해소 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포도시철도는 지난 2019년 9월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 자회사인 김포골드라인운영㈜에 의해 5년 동안 위탁 운영되고 있다.

김포도시철도는 현재 평일 6만3천500여명이 이용하는 등 기본계획(하루당 9만3천명) 대비 70%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