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오는 2040년 인구 60만명에 대비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시는 이에 따라 1도심·3부도심체제로 도시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3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4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 이달 안에 경기도에 승인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해당 계획안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추진해야 하는 도시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지난 2017년 수립한 2030년 목표치를 수정했다.
오는 2040년 목표 인구는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분 등을 합쳐 60만명으로 계획했다. 애초 40만명보다 20만명 늘어났다.
시는 이 같은 계획 인구를 반영해 도시공간구조를 기존 1도심(경안)·2부도심(오포, 곤지암)에서 1도심(경안)·3부도심(오포, 곤지암, 삼동)으로 개편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도시개발 축은 동서 방향인 경강선 역세권과 국도 3호선을 두 개의 주축, 남북 방향인 국도 45호선을 부축 등으로 설정했다.
생활권은 기존 4개 중 오포와 경안 등지를 하나로 묶어 3개(오포·경안, 곤지암·초월, 남한산성·퇴촌)로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경안·오포 생활권은 삼동역 및 광주역사 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도시발전을 추진한다. 곤지암·초월 생활권은 역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을 활성화해 부도심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남한산성·퇴촌 생활권은 관광·농업 등 지역특화산업 육성과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다른 생활권과 균형 발전을 이뤄나가기로 했다.
신동헌 시장은 “오는 2040년 인구 60만명 규모에 맞는 도시기반시설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