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이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확산세에 용인 버스업계가 고사위기에 내몰렸다.
31일 용인시와 경남여객 등에 따르면 용인지역 노선의 경우 시내버스는 경남여객, 시외버스는 경남여객과 대원고속 등이 양분해 운영 중이다.
이런 가운데, 경남여객에서 심상치 않은 기류가 흐르면서 용인 버스가 멈춰 설 위기에 놓였다.
최근 2년 동안 버스 승객이 절반 수준에 머무르면서 직원들의 월급을 수익으로 충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경남여객은 지난달 월급의 50%만 선지급하고 나머지는 대출을 통해 자금을 겨우 마련했다. 이 때문에 대출금 규모가 100억원 가까이 쌓였고, 월 이자만 5천만원에 이른다.
수익 적자로 인한 문제는 여기저기서 터지고 있다.
시외버스 승객들이 줄자 각 지역 버스업계가 노선을 감축하는 바람에 용인시외버스터미널 28개 노선은 15개로 줄었다. 최근엔 시외버스 터미널이 리모델링에 들어가면서 그간 수익의 일부를 담당했던 임대 수입도 막혔다.
차고지에 보관 중인 버스들도 골치다. 이날 기준 소유 버스 520여대 중 65대가 운영이 중단됐지만, 관리비 등은 꾸준히 나가고 있다. 덩달아 버스기사들도 최근 배달업계로 이탈하는 움직임도 감지됐다. 이로 인해 정적 수 880명 중 그만두거나 자가격리 등을 이유로 휴직 중인 버스기사가 하루평균 70명으로 버스 운영에도 벅찬 상황이다.
소유한 항공버스 40대 역시 차고지에서 먼지만 쌓여가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버스업계는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운수종사자를 위한 지원금 이외에도 버스업체를 구제할 지원항목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경남여객 관계자는 “승객이 급감한 데 이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유가도 50%가량 올랐고, 차량 부품비도 30% 가까이 뛰었다”며 “서민들의 교통수단인 버스가 고사위기를 맞은 만큼 근로장려금 이외에도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버스업계를 구제하고자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용인=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