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클러스터 토지보상 문제를 둘러싸고 파열음이 지속되고 있다.
사업시행사는 계획보상률이 50% 이상을 달성, 토지보상 수용재결 의사를 밝힌 반면 토지주들은 되레 반대 동의서를 50% 이상 확보했다고 맞서고 있다.
30일 SK반도체클러스터 특수목적법인(SPC)에 따르면 SPC는 최근 계획 보상률이 토지수용재결 최소 조건인 토지보상률 50%를 초과했다며 31일까지 추가 보상금 명목의 위로금 신청을 받고 있다. 위로금은 토지보상비의 13% 수준이다.
이에 따라 SPC 측은 남은 토지와 지장물 등에 대해 강제수용절차인 수용재결을 진행할 예정이다.
SPC 관계자는 “토지 보상 동의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충분조건을 달성한 만큼 토지 수용재결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토지 보상절차가 급물살을 타자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연합비대위 측은 전면투쟁을 선포했다.
연합비대위 측은 수용재결 신청에 필요한 수용사용 동의서를 50% 이상 이미 확보한 상태라며 SPC 측 주장에 전면 반박했다.
아울러 토지주들로부터 반대 의견을 취합해 토지 강제수용을 막는다는 심산으로 이번 주내로 정확한 수용 반대 수치를 추산, SPC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최근 SPC 측이 내건 위로금으로 인해 토지 보상 반대의견을 취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토지수용 재결이 미뤄질 경우 다시 절차를 밟기까지 수개월에서 1년 가까운 기간이 소요될 수 있어 자칫 사업이 연기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연합비대위 관계자는 “정당한 보상을 받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을 뿐”이라며 “보상을 거부한 토지주들의 목소리가 묻히지 않도록 의견을 개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용인 SK반도체클러스터는 처인구 원삼·독성·죽능리 415만㎡에 조성되며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시설인 팹(Fab) 4기를 비롯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협력업체 50여곳이 들어선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