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등 동해안 일대를 휩쓴 산불로 온 나라가 깊은 시름에 빠졌다.
국민은 텔레비전 뉴스 화면을 통해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잿더미로 변한 마을과 한순간에 소중한 삶의 터전과 전 재산을 잃고 망연자실한 우리 이웃들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었다.
소방청 동원령에 따라 전국에서 소방관과 장비가 일제히 투입됐고, 경기도 소방 역시 지난 9일간 총 소방장비 399대와 인력 1천7명을 피해지역에 급파해 산불진압에 힘을 보탰다.
정부는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각종 지원을 약속했고, 무엇보다 산불보다 뜨거운 이웃들의 온정이 줄을 이으면서 시련과 아픔 속에 한편으로는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전국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을 보유한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올해 추진하는 주요 정책과제 중 가장 심혈을 기울일 정책이 바로 이러한 ‘사회적 약자 보호’다.
지금껏 도민들에게 받은 무한 신뢰와 사랑을 되돌려 드리는 것을 비롯해 ‘따뜻하고 신뢰받는 119’ 이미지 구현을 확고히 다지겠다는 우리의 의지 표명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방은 그간 소방이 늘 해오던 ‘화재예방’→‘대응’→‘화재원인 피해조사’ 순의 틀에 박힌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과감한 개혁을 시도하고자 더 큰 밑그림을 그려나가려고 한다.
화재 피해자 구제 및 복구지원을 위해 심리치료와 화재원인에 관한 분쟁조정까지 지원하도록 활동 범위를 넓혀나가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이 겪는 일상생활의 불편 해소를 위해 관계기관과 ‘이음터’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전기와 가스, 수도와 같은 생활기반시설 관련 기관 및 단체와 협력시스템을 구축해 취약계층과 관계기관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소방이 현장에서 눈으로 확인한 생활불편 사항을 관계기관‧단체에 연계해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화재 피해자를 비롯한 보호 사각지대에 놓인 사회적 약자의 안정적이고 조속한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적극적인 소방행정 지원을 하겠다는 도민과의 약속 실천이다.
올해 취약계층 2만4천가구에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하는 것도 바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우리의 역할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비롯한 주택용 소방시설은 화재로부터 가족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시설이다.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자칫 큰 피해로 이어질 뻔한 화재를 초기 진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례가 연달아 접수되는 등 취약계층 화재안전 지킴이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최근에는 도내 각 시‧군에서 구축한 코로나19 재택치료자 전담 상담시설인 행정안내센터에 의용소방대원을 긴급 투입해 업무 지원에도 나섰다. 지자체 업무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도민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 고심하던 찰나에 떠오른 아이디어였다.
처음 2개 시‧군 지원을 시작으로 현재 8개 시‧군까지 지원을 늘렸고, 앞으로도 확대 실시할 계획을 세우는 등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또 도민을 위한 일이라면 발벗고 나설 작정이다.
시작이 반이란 말이 있다. 아직은 미비하지만, 사회적 취약계층, 나아가 경기도민을 보호하기 위한 따뜻하고 포용력 있는 소방 복지정책을 발굴해 차근차근 실현해 나간다면 도민 안전 체감지수는 덩달아 상승할 것으로 굳게 믿는다. 모든 도민이 일상생활에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환경 조성이야말로 우리의 존재 이유이기 때문이다.
최병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