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남부권역, 대동비 문화권역으로 조성해야"

백승종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가 지난 18일 평택시 합정동 통미마을 작은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평택지역에 위치한 문화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백승종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가 지난 18일 평택시 합정동 통미마을 작은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평택지역에 위치한 문화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평택 소사동을 중심으로 남부권역을 ‘대동비 문화권역’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소사동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대동법 시행 기념비(이하 대동비)가 위치했다.

백승종 전 서강대 교수는 금요포럼 주관으로 지난 18일 합정동 통미마을 작은도서관에서 열린 ‘소사동 대동비 문화권역 조성방안’ 토론회에서 “평택 남부권역은 대동비‧농성(農城) 문화권역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이 권역에는 문화재인 대동비, 팽성읍객사, 평택향교, 홍학사비각 등을 포함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유적과 동제(洞祭), 지정보호수 등 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하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대동비가 위치한 소사동은 조선시대 역원(驛院)인 소사원, 임금 행차 시 잠시 쉬어가는 곳인 어막대(御幕臺)가 있었다”며 “정유재란 당시엔 우백영‧해생이 이끄는 명군이 구로다 나가마사가 이끄는 일본군을 무찌른 소사벌 전투가 벌어진 곳”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동비 문화권역을 조성하려면 타지로 옮겨진 석조미륵입상을 원위치하고 소사원‧어막대 발굴조사 및 당제 복원, 시민을 위한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조발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도 문화권역 조성을 위해선 시민을 위한 교육‧문화 콘텐츠를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승겸 시의원은 “대동비가 위치한 소사 4구역은 개발과 보존이 함께 어우러진 역사문화공원이 조성돼야 한다”며 “평택지역 유‧무형 문화재와 연계한 투어를 설계하고 시민과 함께할 수 있는 행사를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광섭 평택시 문화관광해설사는 “문화권역을 통해 문화유산을 평생학습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면 지역 정체성 확립과 경제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평택 팽성읍에도 역사문화자원이 많으므로 남부권역을 소사동 대동비 문화권역과 팽성읍 농성 문화권역으로 나누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평택=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