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선거 쓰레기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치열했던 대통령 선거가 끝났고, 어마어마한 쓰레기가 남았다. 길거리에 내걸린 현수막과 후보 알림용 벽보, 후보와 정당을 알리는 공보물, 투표용지, 거기에 올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일회용 비닐장갑까지 사용해 쓰레기양이 엄청나다.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발생한 ‘선거 쓰레기’가 수천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2017년 19대 대선에서 후보자 종이 공보물은 약 4억부 제작됐고, 현수막은 5만2천545장 나왔다. 올해 대선에선 5년 전의 두 배 이상 허용됐다. 이에 추정되는 현수막은 10만5천90장, 벽보 및 공보물은 5천t에 이른다. 이를 감안하면 이번 대선 홍보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7천312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30년 된 소나무 80만3천522그루가 1년 내내 흡수해야 하는 양이다. 또 유권자 모두가 비닐장갑을 사용했다고 가정할 경우 최대 8천800만장이 소요됐다.

대선 후보와 정당을 알리는 종이 공보물, 현수막 등은 친환경과 거리가 멀다. 현수막은 플라스틱 합성섬유가 주성분이라 매립해도 거의 썩지 않는다.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배출 때문에 소각도 쉽지 않다. 다른 현수막에 비해 제작 시 잉크가 많이 들어가 재활용도 썩 좋지는 않다. 2020년 4·15 총선에서의 폐현수막 재활용률은 25% 수준이다.

행정안전부가 사용을 마친 현수막을 재활용하는 ‘폐현수막 재활용 지원사업’을 펴고 있다. 대상으로 오산시 등 전국 기초지자체 22곳을 선정했다. 지자체 1곳당 최대 1천만원을 지원한다. 이들 지자체는 폐현수막을 에코백, 장바구니, 우산, 농사용 천막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하거나 시멘트 소성용 연료로 이용한다.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도 홍보물 쓰레기가 엄청 쏟아질 것이다. 전자 공보물 도입이나 재생종이 활용, 재생 현수막 사용, 현수막 수 줄이기 등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홍보물을 게시한 후보나 정당이 수거와 재활용을 책임지게 하는 선거법 개정도 필요하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