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소사동 석조미륵입상 등 지역 내 비지정 문화재 현황 파악에 나섰다.
비지정 문화재의 멸실과 훼손을 막기 위해서다.
평택시는 14일부터 기남문화재연구원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용역을 체결하고 지역 내 비지정 문화재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전수조사를 시작했다.
용역 계획에 따르면 연구원은 오는 8월23일까지 문화재·민속·마을·유적 등을 현장 조사한다.
실측을 비롯해 소유자·점유자 성명과 주소 등을 파악하며 보존·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신규 문화재 여부 등도 확인한다.
현장 조사가 끝나면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비지정문화재를 역사성·희소성에 따라 A~E 등급으로 분류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평택문화원은 지난 2014년 연구조사를 통해 소사동 석조미륵입상 등 지역 내 유·무형 비지정문화재 68건을 파악했으나 이 가운데 일부가 도시개발 등으로 멸실·훼손됐다.
보존 가치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보호법이나 조례로 지정되지 않아 개발 시 소유주·토지주가 개인적으로 처분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탓이다.
앞서 이관우 평택시의회 자치행정위원장은 지난달 18일 열린 제221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해 지역 내 비지정문화재 관리실태를 지적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는 조선후기 미륵신앙을 알 수 있는 소사동 석조미륵입상이 토지주에 의해 다른 지역 사찰로 옮겨진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향토사학계를 중심으로 대책을 요구해왔다.
시는 이번 용역으로 비지정문화재 현황자료를 구축, 향후 문화재 등재·승격과 보존·관리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지역 내 비지정 문화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도시화와 각종 개발사업으로 사라질 위험이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평택=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