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교육지원청의 미온적인 참여로 초등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작된 용인시 학교돌봄터사업이 첫걸음도 떼지 못하고 있다.
22일 용인시와 용인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학교돌봄터 설치·운영을 희망하는 초등학교 105곳을 대상으로 연중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학교돌봄터는 지자체와 학교가 협의, 질높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보건복지부 25%, 교육부 25%, 지자체 50% 등의 비율로 예산을 분담하되, 학교가 교실을 제공하면 해당 지자체가 운영한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저조한 참여에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올해 해당 사업을 신청한 학교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지난해도 2차례에 걸쳐 모집했으나 협의를 맺은 곳은 단 한곳도 없었다.
비록 지난해 신갈의 한 초등학교가 참여 의사를 밝혔으나 계약 직전 이견 차이로 무산됐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로선 답답한 노릇이다. 사업 운영비를 대부분 지자체와 정부가 일임하는데도 교육당국의 소극적인 참여로 협상 테이블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어서다.
특히 사업 지연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학부모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참여를 독려하고자 꾸준히 학교와 교육당국 등에 협의 공문만 보내고 있는 상황이지만 달라진 게 없다”고 토로했다.
교육당국은 코로나19로 외부유입에 부담을 느껴 학교 참여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흥구와 수지구의 경우 학생 수가 많다 보니 유휴 교실이 확보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주장이다.
용인교육지원청 관계자는 “학교 참여를 이끌어 내려 하나 여러 요인에 막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용인=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