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이 지나며 봄이 오고 있지만, 맹추위는 여전하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겨울철 수난사고는 1월 290건, 2월 330건, 3월 323건으로 1월에서 2월로 지나면서 증가해 2월 무렵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국 소방관서에서는 가장 큰 추위가 지나면서 낮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고 일교차가 커지는 이즈음에 하천이나 연못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난사고와 공사장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매년 해빙기 인명구조 훈련을 실시한다.
특히 해빙기에는 하천의 얼음 두께도 급격히 얇아져 그 위를 건너다 물에 빠지는 수난사고와 얼었던 지반이 기온 상승과 함께 녹으면서 공사장 축대·옹벽 붕괴사고가 매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해빙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에는 △얼음판 가로지를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 착용 △무거운 물건으로 얼음을 두드려 안전 확보 △야외 활동 시 빙상놀이 금지 △위기상황 발생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보호자나 일행 동행 △사고 발생 시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주변 사람에게 알리기 △얼음물에 빠진 경우 최대한 팔을 벌려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저체온증에 대비 △사고 시 침착하게 장대, 로프, 구명환 등을 이용해 구조하기 등이 있다.
또 대형 공사장에서는 주변 도로나 건축물 등에서 지반 침하로 인한 이상 징후가 없는지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추락 또는 접근금지를 위한 표지판이나 안전펜스가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해빙기에는 얼음 위에서 낚시나 빙상놀이를 하지 않고, 주변 시설물을 관심 있게 살피는 것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안전사고나 위험요인 발견 즉시 119에 신고해 안타까운 대형재난이 무관심으로 이어지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매년 해빙기 수난사고 대비 소방관들이 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모든 안전사고는 예방이 최우선이다.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해 코로나19로 경제적·심리적으로 꽁꽁 얼었던 우리 사회에 따뜻한 봄과 함께 해빙기가 찾아오길 기원한다.
김한성 양평소방서 수난구조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