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 생명주기 마쳐”, 송주명 ‘자치분권 교육공동체’ 제안

송주명 민주주의학교 상임대표. 송주명 대표 측 제공
송주명 민주주의학교 상임대표. 송주명 대표 측 제공

오는 6월 경기도교육감 선거 출마를 시사한 송주명 민주주의학교 상임대표(한신대 교수)가 14일 공교육 대혁명의 해법으로 '자치분권 교육공동체'를 제안했다.

송주명 대표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경기교육의 현실은 여전히 과거에 발이 묶여 있다"며 "한때 대한민국 공교육의 희망이었던 경기 혁신교육은 그 성과 여부를 차치하고 이제 사실상 생명주기를 마쳤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교의 역할과 성격, 학력과 교과과정 등에 대한 기존 개념의 근본적 재정립이 필요하다"라며 "이제는 개별 학교의 담장을 뛰어넘어, 학교와 학교가 연결되고 학교와 지역이 협치, 융합하는 새로운 교육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대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치분권 교육공동체를 제안했다. 자치분권 교육공동체는 지역 내 고교들을 네트워크화하고, 초중고교 간 교육 과정 및 민주주의 연계를 강화해 학생들의 선택지를 넓히는 등 공교육의 질을 강화하는 모델이라고 송 대표는 설명했다.

그는 "거대한 시대적 과제 앞에서 경기교육을 위해 헌실할 기회를 갖기를 희망한다"며 "다양한 영역, 다양한 주체들 간의 협력, 민주적 소통을 통해 역동적으로 교육현장의 변화를 가속화하고 시대적 교육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공교육 대혁명 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