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업무 재구조화 공모 단 1곳 지원…道교육청, 소규모 추진·연구용역 기로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일보DB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일보DB

교육행정직렬의 거센 반발에도 강행한 경기도교육청의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학교’ 사업 공모에 단 1개의 학교만이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교육청은 이 같은 공모 결과에 소규모로 진행하라는 경기도의회 권고안을 검토,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10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9일까지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학교’ 사업 공모를 진행한 결과, 수원 A 중학교만 공모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초·중·고 가운데 시범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20개교를 모집하려 한 도교육청 구상에 차질이 빚어진 것이다.

도교육청은 내부 논의를 통해 해당 시범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경기도의회가 해당 사업과 관련해 20개 학교를 전체 실시하기 보다 소규모(3개교)로 추진하라는 권고안을 바탕으로 추진 판단을 내릴 계획이다.

도의회는 사업 공모가 이뤄지기 전 교육행정직렬의 반대 여론이 들끓자 이 사안을 살폈고, 그 결과 소규모 추진 및 외부연구용역 수행 시 기존학교와 약 3개 시범학교를 대상으로 용역을 받는 등 점진적 사업 추진을 권고했다. 또 사업비로 편성된 예산은 시범학교와 연구용역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도교육청은 현재 1개 공모 학교에 대한 시범학교 추진 및 연구용역 또는 연구용역만 단독으로 진행해야 할 기로에 서게 됐다.

그동안 이 사업의 철회를 주장해온 교육행정직들은 공모 결과에 대해 투쟁으로 이뤄낸 성과라며 업무 이관 외에 행정실 정상화를 위한 목소리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전국공무원노조 교육청본부 관계자는 “70여일의 투쟁으로 부당한 교원업무 이관 시범학교 공모를 막아냈다”며 “전공노는 업무 이관 저지에 만족하지 않고 행정실 정상화를 위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학교에 대한 더이상 공모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내부 논의 단계여서 자세한 내용은 말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