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자기저항메모리(MRAM)를 기반으로 한 ‘인메모리 컴퓨팅’을 구현했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정승철 전문연구원이 제1저자로, 함돈희 종합기술원 펠로우 및 하버드대 교수와 김상준 종합기술원 마스터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반도체연구소·파운드리사업부 연구원도 공동으로 참여했다.
인메모리 컴퓨팅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존 컴퓨터는 데이터 저장을 담당하는 메모리칩과 데이터 연산을 책임지는 프로세서칩을 따로 나눠 구성한다. 반면 인메모리 컴퓨팅은 데이터 저장은 물론 연산까지 수행하는 최첨단 칩 기술이다.
메모리 내 정보를 병렬 연산하는만큼 전력 소모가 낮아 차세대 저전력 인공지능(AI)칩을 만드는 기술로 주목 받아 왔으나 실제 구현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삼성전자 연구진은 이 한계를 ‘전류 합산’이 아닌 ‘저항 합산’ 방식을 제안해 저전력 설계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칩을 인공지능 계산에 응용, 숫자 분류에서 최대 98%, 얼굴 검출에서 최대 93%의 정확도로 동작하는 것을 검증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조의 칩을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생물학적 신경망을 다운로드하는 뉴로모픽 플랫폼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정승철 전문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돼 있는 사람의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