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녀 옷도 못 사다니”… 도내 곳곳 불만 폭발
“백신 미접종자는 손녀 선물도 사지 못하는 세상이 돼 버렸네요”
10일 오전 11시께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의 한 백화점 입구.
곧 태어날 손녀의 옷을 사러 온 박현자씨(59ㆍ가명)가 발길을 돌리지 못한 채 20여분째 입구에서 서성거리고 있었다.
백신 1차 접종 후 심하게 부작용을 겪고 2차 접종을 어쩔수 없이 포기한 박씨. 정부 지침을 따라야 하는 백화점 입장에서 그는 ‘초대받지 못한 손님’ 이었다.
박씨는 “백신 미접종이 손녀를 위한 자그만한 선물 구입 조차 막을 줄 꿈에도 몰랐다”고 허탈해했다.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대형마트에선 직원의 QR인증 확인 방식을 두고 손님과 직원과의 설전이 오갔다. 입장을 위해 음성확인서 문자를 보여준 김성택씨(49ㆍ가명)의 앞길을 막은 직원의 제지가 갈등의 시발점이 됐다.
“접종 여부만 확인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김씨의 불만섞인 반응에도 직원은 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재차 반복했다. 이로 인해 다른 이용객들의 대기시간이 지연되는 상황이 연출되자, 결국 마트 측은 김씨의 입장을 허락했다.
수요를 감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하게 준비된 QR인증기도 혼란을 부추기는 데 한몫했다.
QR코드 인증기를 1대 밖에 준비하지 못한 영통의 한 대형마트에서는 입장 대기시간이 지연되며 손님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의왕시 오전동 대형마트를 방문한 일부 고객들은 QR인증도 하지 않은 채 막무가내로 입장을 시도했다. 직원들 역시 이 상황을 목격했지만 이미 성날대로 성난 고객들을 제지하지 못했다.
생활필수시설인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에 대한 방역패스 적용이 시작된 첫날부터 경기도내 곳곳에서 혼란과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방역패스 적용 대상에 면적 3천㎡ 이상의 대형마트, 백화점, 서점 등 대규모 점포들이 추가됐다. 시설 입장 시 백신 접종증명서나 48시간 내 발급받은 PCR(유전자증폭검사) 음성확인서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확진자 감소를 위해 방역패스 강화가 불가피하지만 범위와 대상이 조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는 “정부는 방역패스에 대한 국민들이 갖는 인식이나 적용 결과에 따라서 적용 범위와 대상을 고려한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기본권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업ㆍ필수시설 관련 범위 최소화 및 대체수단을 강구하고 있으며 유행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위험도가 낮은 시설부터 단계적으로 방역패스를 해제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현장에서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16일까지 일주일간 계도기간을 갖고 17일부터 개인에게 위반 횟수에 따른 과태료를 10만원씩 부과한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