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곰 사육농장을 탈출한 반달가슴곰 한마리가 해를 넘기도록 행방이 묘연한 가운데 곰 수색 작업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돼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용인의 한 사육농장에서 곰이 탈출한 지 4개월 밖에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또 다시 곰 5마리가 탈출(경기일보 2021년 11월23일자 6면)한 가운데, 4마리는 포획하거나 사살했지만 나머지 1마리의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5일 한강유역환경청(환경당국)에 따르면 환경당국은 지난해 12월9일부터 용인 곰 사육농장에 대한 수색을 중단하고 주민신고제를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농장 주변 4㎞ 반경 내 LTE 카메라가 부착된 유입목 7개와 트랩 3개 등을 설치, 실시간 감시체계도 구축했다.
그동안 환경 당국은 곰의 행방을 쫓기 위해 수색범위를 반경 7㎞ 이내까지 넓히고 열화상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을 띄워 상공에서 확인했으나, 흔적도 발견되지 않아 더 이상의 수색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고제로 전환한 후 3주 가까이 시간이 지났지만 특별한 단서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 이렇다 보니 주민들은 불안감에 휩싸여 탈출설부터 동면설, 도축설 등까지 다양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주민 A씨는 “곰이 동면에 들어갔더라도 안전하지 못한 상황에선 깨어나 언제든 사람을 해칠 우려가 있다”며 “벌써 곰이 탈출한 지 한달이 넘어가 주민들도 지친 기색이 역력하다”고 토로했다.
용인동부경찰서와 야생생물관리협회도 탐문수사에 나섰지만 별다른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곰 도축설에 대해 환경당국 특사경도 확인 중인 사항이지만, 아직까지 혐의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며 “지금으로선 스스로 열고 나간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동면에서 깨어나는 2월이나 돼야 흔적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수색반경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면서 흔적을 쫓았으나 답보상태에 이르렀다”며 “신고제라 하더라도 경찰과 용인시가 상시 출동 대기 중”이라고 설명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