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한강신도시 등 LH가 추진한 신도시에 대해 준공 후 처음으로 재정비한다.
28일 김포시에 따르면 신도시 내 애초 계획된 기반시설(공공용지) 중 미매각 용지와 현실과 맞지 않아 불편을 겪는 지구단위계획 등을 재정비하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전문기관에 관련 용역을 의뢰, 최근 한강신도시 등 기반시설(공공용지) 재정비 용역에 대한 1차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중간보고회를 통해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운영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다른 2기 신도시와 비교, 분석한 내용이 제시됐다.
대상 택지는 한강신도시와 양곡택지, 마송택지지구 등이다. 이들 택지의 최종 준공일은 한강신도시기 지난 2017년, 양곡택지가 지난 2011년, 마송택지가 지난해 등이다.
현행 지침상 준공일로부터 5년 동안은 준공 당시 수립된 지구단위계획을 유지해야 하지만, 공공시설용지 용도 재검토나 공공시설 설치 또는 변경을 위한 경우는 정비할 수 있다.
이들 택지 내 미매각 공공용지는 한강신도시가 13곳(13만8천142㎡), 양곡택지 5곳(2만6천465㎡), 마송택지 3곳(4천466㎡) 등이다. 대부분 방송통신시설용지와 유치원용지 등으로 택지에서 부족한 공공시설용지로 변경, 현실에 맞게 탄력적으로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시가 한강신도시 내 만 20세 이상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가장 필요한 공공시설은 종합의료시설과 문화예술회관, 보건소, 소방서 등의 순으로 안전 및 건강과 관련된 시설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내년말까지 전문가 자문, 2차 중간보고회, 최종보고회, 도시·건축공동위 심의 등 행정절차 이행 후 최종 결정고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