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문화유적복원사업 속도…관아터 현판 제막

평택시는 팽성읍 객사리 팽성읍 행정복지센터에 관아터를 알리는 현판을 제막했다. 사진은 현판. 안노연기자
평택시는 팽성읍 객사리 팽성읍 행정복지센터에 관아터를 알리는 현판을 제막했다. 사진은 현판. 안노연기자

평택시가 추진 중인 문화유적복원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조선시대 평택현(平澤縣) 수령(현감)의 집무실 동헌(東軒)이 있던 팽성읍 객사리 팽성읍 행정복지센터에 관아터를 알리는 현판을 제막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 ‘팽성읍 시민과의 대화’에서 지역의 역사와 유적 등을 수 있는 현판을 세워야 한다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 자료조사 등 현판 설립을 준비해왔다.

객사리 일대는 조선시대 관아가 있던 평택현의 중심지로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팽성읍 객사와 경기도 문화재자료인 평택향교 등이 남아있다.

현판은 이 지역 보호수인 수령 350여년 된 향나무 앞에 세워졌다. 현판에는 평택현이 이곳에 읍치를 두고 팽성읍 대부분을 관할했다는 내용을 적었다.

동헌 일대는 현감 관사인 내아(內衙), 지방자치기구였던 향청(鄕廳), 아전 집무실인 작청(作廳), 회계를 담당하는 공수청(公須廳) 등 여러 건물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졌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평택시 팽성읍 일대가 평택현(平澤縣)이었고, 충청도에 속했다.

이후 1914년 4월1일 충청남도 평택군이 경기도 진위군에 편입됐고 1938년 10월1일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됐다. 1995년 5월10일 송탄시와 평택시, 평택군 등이 도농복합시인 평택시로 통합돼 평택군이 폐지됐다.

시는 이번 현판 설립을 계기로 지역 내 유적터 등을 찾아 현판을 세워나갈 예정이다.

현판 설립 자문과 해설을 맡은 김해규 평택인문연구소장은 “땅의 역사는 곧 사람의 역사”라며 “지역의 역사를 발굴해 기억하고 후대에 전승하는 건 지역의 자긍심을 높이고 평택 시민으로서 정체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이번 현판 설립을 계기로 지역 향토사학자들과 연구조사를 하고 유적터에 현판을 세워나가는 사업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평택=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