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는 겁니까?”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식당·카페 등에서 ‘초강력 방역 조치(백신패스)’가 시행되고 있지만, 경기도내 일부 중ㆍ장년층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전자출입명부(QR코드) 사용법을 몰라 크고 작은 혼란에 빠진 모습이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8일부터 방역 조치를 한층 더 강화시켜 식당·카페·유흥주점·실내체육시설 등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로 제한했다. 사적 모임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4인까지만 가능하다.
백신접종 완료자(2차 접종 후 14일 경과한 자)만 QR코드 기기를 통해 다중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가운데, 디지털 사각지대에 놓인 도내 중장년층 자영업자들은 기기 설치 및 사용법을 몰라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평택시 팽성읍에서 기사식당을 운영하는 김복희씨(63ㆍ여)는 최근 QR코드를 사용하는 데 있어 엄청난 부담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지난 13일까지만 해도 ‘수기 출입명부’를 통해 손님을 들였지만, 최근 백신 패스로 방역 정책이 바뀌면서 김씨는 지인을 통해 공기계를 얻었다. 하지만 김씨에게는 더 큰 문제가 있었다. QR코드 체크인에 필요한 인터넷 등 기반 환경을 갖추지 못했고, 설치 및 사용법 또한 몰랐던 것. 결국 김씨는 찾아온 손님들께 양해를 구하고 되돌려 보낼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손님이 몰리는 시간에는 주방에 들어가 있어 휴대폰으로 일일이 QR코드를 확인할 수 없다”며 “결국 영업을 잠시 중단, 우여곡절 끝에 인터넷과 QR코드 기기를 설치했다. 정부가 식당 주인에게 방역 업무를 떠넘기는 것만 같아 속상하다 ”라고 하소연했다.
수원시 장안구 분식집 사장 박순자씨(66·가명)도 “디지털 소외 계층인 5060세대도 똑같이 코로나로 피해받는 힘 없는 자영업자일 뿐”이라며 “디지털이 낯설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푸념했다.
경기도상인연합회는 코로나19가 내년에도 쉽게 끝나지 않으리라고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보여주기’식의 행정이 아닌 직접 상인들을 찾고, 이들의 목소리를 담아 그 누구도 소외당하지 않는 정책을 만들도록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질병청 관계자는 “주변에서 디지털 기기가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 자영업자들을 돕는 분위기가 조성됐으면 한다”며 “QR코드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5060세대 자영업자들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계속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