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 등 국내서도 지진이 발생하는 가운데 평택지역 방향표지판 미설치와 인구대비 수용인원 부족 등 지진 옥외대피장소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21일 평택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에는 각급 학교 운동장 31곳이 지진 옥외대피장소(대피소)로 지정돼 운영 중이나 대피소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표지판은 단 한개도 설치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주민들이 대피소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면서 혼란을 부추길 수 있고, 피해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행 행정안전부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정 및 관리지침’은 옥외대피장소 방향표지판을 주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주요 교차로와 전주 등에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설치한 안내표지판 수도 문제다. 교문이 2곳 이상인 학교에도 일괄적으로 안내표지판을 1개씩만 설치했기 때문이다.
대피 장소가 학교 운동장으로 한정된 탓에 수용 가능 인원도 적다. 지진대피소 31곳의 수용인원은 16만4천493명으로 평택 인구 56만1천770명(지난달 기준)의 29% 수준이다.
주민 10만여명이 거주하는 비전동의 대피소는 5천696명을 수용 가능한 비전초등학교 1곳뿐이다. 3만7천여명이 거주하는 동삭동도 수용 규모 4천121명인 동삭초등학교 1곳밖에 없었다.
고덕동ㆍ용이동은 각각 2만6천여명과 2만여명 등이 거주하는 아파트 밀집지역인데도 고층건물과 이격된 학교가 없다는 이유로 대피소가 지정되지도 않았다.
이예슬씨(32ㆍ평택시 합정동)는 “지진 발생 시 학교 운동장이 대피소인 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데 정작 방향표지판은 본 적이 없다”며 “국내도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은만큼 대피소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학교 운동장 위주로 대피소를 지정, 미흡한 곳이 있음을 인정한다”며 “방향표지판을 추가로 설치하고 수용인원이 부족한 지역을 조사해 공원 ㆍ공터 등을 대피소로 추가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평택=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