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한ㆍ중 간 국제전자상거래 물량에 대응하려면 평택항에 민간통관장을 설치하고 해상특송 중심 항구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금요포럼, 평택항바로세우기운동본부, 평택대, 평택대 민주교수노조 등 공동 주관으로 지난 3일 평택대 제2피어선빌딩에서 열린 ‘평택항 민간통관장 추진방안’ 토론회에서 변백운 평택시 항만정책관은 주제발표를 통해 이처럼 지적했다.
변 정책관은 “한중 전자상거래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규모는 직구 8천182억원, 역직구 5조2천4억원 등이다. 평택항도 지난 2019년 해상특송장 정식 개장 후 물동량이 급증, 월평균 100만건 이상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처리 물량이 월평균 250만건 이상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택항은 다롄(大連)ㆍ옌타이(煙臺)ㆍ웨이하이(威海) 등 산둥성(山東省) 해상특송화물 수송의 데일리 서비스 구축이 가능, 해상특송 중심항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민간통관장 설치 운영으로 신속한 통관체제를 갖춰 물류서비스 품질을 제고해야 평택항이 환황해권 내 한국대표 해상특송항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평택항 자유무역지역 내 물량 500만건을 처리할 수 있는 해상특송 민간통관장 건립, 지자체의 역할과 지원 강화, 중국 항만도시와 협조체계 구축 등 실현 방안을 제시했다.
김훈 금요포럼 공동대표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회에서도 민간통관장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동관 한국해외직구기업협회장은 중국의 플랫폼 기업들이 한국에 직접 진출하기 시작했으나 관이 운영하는 통관장으로는 물량을 소화해낼 수 없다며 민간통관장 운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기철 평택대 교수도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인 인천항 등과 달리 한중관계에서 구체적인 포지션이 없는 평택항이 자생력을 갖추려면 민관통관장을 운영, 해상특송 중심항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