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회가 지뢰 폭발 사업 위험 속에 진행되는 한강하구 철책 제거 사업과 관련 김포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한강하구 고양ㆍ김포지역 철책제거가 지뢰 안전검증이 확보된 후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본보 11월30일자)이 제기되고 있다.
1일 김포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 행정복지위원회는 지난 30일 집행부에 지뢰사고 경위와 군 입장, 향후 대책 등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김계순 의원은 “최근 고촌에서 임무수행중인 군 장병의 지뢰 폭발사고가 있었다. 발목이 절단되는 큰 사고였는데 지뢰 안전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이번 지뢰 사고 관련 진상규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냐”고 물었다.
오강현 의원은 “고촌 지뢰 폭발사고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지난 1984년 장릉에 홍수가 났을 때 토사를 한강변으로 버렸는데 이 때 지뢰가 토사와 함께 유실된 거 아니냐는 언론보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이어 “지난달 10일 역사적 철책 제거사업이 시작됐는데 이같은 지뢰 폭발사고로 철책 제거가 미뤄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답변에 나선 권재욱 미래전략담당관은 “이번 고촌 사고에 앞서 고양시에서도 유사한 사고가 있었다. 현재는 안쪽(도로변쪽) 철책만 제거하기에 큰 문제는 없지만 최근 소송 종료로 추가 제거할 구간에 대해서는 지뢰 관련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권 담당관은 또 “군이 진상 조사를 진행 중이고 발표는 아직 안 나왔다. 연내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밀물 때는 한강변 고수부지가 물에 잠기는 상황이다. 성토 및 지뢰 등 안전 확보 문제를 확보한 뒤, 개방 구간을 결정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984년 폭우로 인한 장릉산 수해로 이 일대에 매립된 수백여개의 지뢰가 유실됐고 이를 군이 지뢰를 해체하지 않고 김포대교~일산대교 사이 군 철책 안쪽으로 이전ㆍ매립했다는 것이 한국대인지뢰대책회의와 한국지뢰제거연구소의 주장이다.
또, 최근 김포, 고양 일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4차례의 지뢰폭발사고와 지뢰발견이 이 당시 매립한 지뢰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