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장항습지에서 지뢰 폭발사고가 발생한 지 5개월 만에 강 건너 김포지역에서 재차 지뢰로 추정되는 폭발물이 터지면서 군 당국의 허술한 지뢰 관리가 도마 위에 올랐다.
21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오전 7시33분께 김포시 고촌읍의 육군부대에서 초소 주변에 대한 수색 정찰에 나선 A 상사(40)가 철책 근처 미상의 물체를 밟아 폭발했다. 이 사고로 A 상사는 왼쪽 발목이 절단되는 중상을 입었으며, 인천 소재 대형병원으로 긴급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현재까지 유실 지뢰로 추정되는 물체가 폭발한 장소는 일산대교에서 서울 방면으로 약 2㎞ 떨어진 한강 하구 부근의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이곳에서 직선 1㎞ 거리 강 건너에는 지난 6월 지뢰 폭발사고가 발생했던 고양 장항습지가 있다. 불과 5개월 만에 지척에서 유사한 폭발사고가 벌어진 것이다.
당시 사회적협동조합 소속으로 장항습지 환경 정화작업에 투입됐던 50대 남성은 유실 지뢰를 밟으면서 오른쪽 발목을 잃는 참변을 당했다. 이후 경찰은 지자체가 ‘유실 지뢰가 장항습지에 묻혔을 수 있으니 위험 표지판을 부착해달라’는 군의 요구를 이행하지 않아 사고가 벌어진 것이라 보고 고양시 공무원 등 6명을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지뢰 제거와 안전관리에 대한 최종적인 권한과 책임은 군 당국에 있다.
장항습지 사고 이후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말 기준 후방지역 매설 지뢰 중 3천발 안팎이 미제거 상태라고 발표하며, 군 당국에 지뢰 현황 공개와 신속한 제거를 권고했다. 또 지난 9월 기준 경기북부지역에 남아 있는 지뢰들의 추정치는 김포시 190발, 파주시 181발, 고양시 136발, 가평군 114발 등으로 나타났다.
과거 군은 방공포대가 자리잡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1980년대까지 대인지뢰 6만발을 심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해당 폭발물의 수나 정확한 위치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 지뢰들이 물을 따라 떠내려오며 피해를 일으키고 있지만, 민간인 접근을 통제하는 방법 말곤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는 모양새다.
한편 이날 사고 직후 군 당국은 합참 작전본부장 주관으로 상황 통제에 나섰으며, A 상사 소속부대인 육군 17사단 수도군단 측은 폭발물처리반(EOD)을 보내 잔해를 수거했다. 군은 문제의 폭발물에 대해 북한 목함지뢰인지 우리 측의 지뢰인지 확인하며 우천이나 만조에 따른 유실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사 중이다.
군 관계자는 “사고대책반에서 폭발물의 종류를 분석하고 있다”며 “사고 당시 작전에 투입된 인원 중 추가 피해가 없다는 것 외엔 아무것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