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결의(歷史決議). 중국 집권세력은 위기 때마다 늘 이 표현을 썼다. ‘중국공산당 100년 분투의 중대한 성취와 역사경험에 관한 결의’의 준말이다. 뉘앙스는 제법 둔중하다. 첫번째는 공산당 정권수립 4년 전에 발표됐다. 1945년이었다. 마오쩌둥(毛澤東)은 첫번째 역사결의를 통해 사상적 단결을 역설했다.
▶두번째는 1981년이었다. 덩샤오핑(鄧小平)이 당시의 최고 통치자였다. 그는 이 선언을 계기로 대륙을 재앙으로 몰고 간 문화대혁명 10년의 폐해를 정리하고 개혁개방의 길을 열었다. 문화대혁명을 정리하지 않고선 당이 앞으로 나아갈 수 없었던
▶역사결의를 선포한 뒤 지도자들은 어김없이 장기집권에 들어갔다. 마오쩌둥이 그랬고
▶생뚱맞게 ‘역사결의’를 꺼낸 까닭은 뭘까. 엊그제 끝난 중국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서 또 선포된 탓이다. 벌써 세번째다
▶중국은 내년 하반기 제20기 당대회에서 시진핑(習近平)의 3연임 확정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시진핑은 “신시대 당과 국가사업 발전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에 이어 시진핑도 1인 통치체제를 열었다. 이번 역사결의 채택 이후 시진핑의 장기집권은 기정사실이 됐다. 중국 공산당은 한술을 더 떴다. 3차 역사결의를 계기로 시진핑의 사상을 21세기 마르크스주의로 강조했기 때문이다. 이웃 나라가 ‘공산당 중흥’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또다시 위험한 도박을 시작했다.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