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고통지수’는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다. 일정 기간의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것에다 소득증가율을 빼서 나타낸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청년들이 겪은 경제적 고통이 역대 최악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취업난이 심각한 데다 물가까지 폭등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4일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015년 집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청년층(15∼29세)의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7.2로 가장 높았다. 이어 60대 18.8, 50대 14.0, 30대 13.6, 40대 11.5 등의 순이었다. 원인은 고용 한파다. 청년 체감실업률은 올 상반기 25.4%로 30대(11.7%)의 2.2배, 40대(9.8%)의 2.6배였다. 2015년 21.9%에서 2019년 22.9%로 4년간 1.0%p 올랐으나 그 후 2년 반 만에 2.5%p나 더 상승했다.
청년 물가상승률도 2018년 1.6% 이후 0%대를 유지하다 올 상반기 1.8%로 급등했다. 청년 자영업자 폐업률은 2020년 기준 20.1%로 전체 평균(12.3%)의 1.6배였다. 재무 건전성도 나빠져 청년층(29세 이하 가구주)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16.8%에서 2020년에는 32.5%로 최고치였다. 청년층 부채는 2015년 1천491만원에서 2020년 3천479만원으로 연평균 18.5% 올랐지만, 자산은 8천864만원에서 1억720만원으로 연평균 3.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끝이 보이지 않는 취업난에 코로나19까지 장기화하면서 청년들의 경제적 고통이 더 심화하고 있다. 이를 청년 기본소득, 청년 기본대출, 청년 도약 보장금 등 선심성 정책이나 퍼주기식 지원금으로 해결하려는 건 한계가 있다. 정치권과 정부는 기업규제 혁파, 고용 유연성 확보 등 민간의 고용창출을 지원해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청년들에게 고통이 아닌 희망을 줘야할 의무가 있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