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부터 국내에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보급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부는 먹는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 40만4천명분의 선구매 계약을 이달 안으로 완료하겠다고 지난 7일 밝혔다. 경구용 치료제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시점은 내년 1분기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정부는 40만4천명분의 경구용 치료제를 확보할 계획”이라며 “아직 계약이 이뤄지지 않은 13만4천명분에 대해서는 추가 협의 중이며 11월에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13만4천명분 선구매는 치료제 개발 3사인 미국 머크앤컴퍼니(MSD), 화이자, 스위스 로슈와 협의 중”이라며 “국내외 치료제 개발 상황을 고려해 구매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 중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경구용 치료제 선구매를 추진해왔다. 40만4천명분 중 지난 9월 MSD와 20만명분, 10월 화이자와 7만명분 구매약관을 각각 체결한 바 있다.
MSD의 ‘몰누피라비르’는 증상 발현 닷새 내에 투여 시 입원ㆍ사망 확률이 약 50% 줄어든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증상 발현 사흘 내 투여 시 입원ㆍ사망 확률이 89% 감소, 닷새 안에 복용 시 확률이 85%까지 떨어진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김은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