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VS 안양시의회, 박달스마트밸리 재공모 놓고 충돌

18일 안양시의회 제27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음경택 의원이 최대호 안양시장에게 박달스마트밸리 사업 등에 대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노성우기자
18일 안양시의회 제27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음경택 의원이 최대호 안양시장에게 박달스마트밸리 사업 등에 대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노성우기자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 등이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 “공익성을 제고해 대장동과는 다르다.”

안양시와 안양시의회가 박달스마트밸리 사업 등 민감한 현안을 두고 충돌했다.

안양시의회 음경택 의원(국민의힘)은 18일 열린 제270회 안양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 평촌동 934번지 구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오피스텔 건축사업 등 굵직한 개발사업들이 추진되는 가운데 각종 특혜 의혹 등으로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음 의원은 “당초 공모 때 105개 업체가 참여의향서를 제출했지만 재공고에선 참여업체가 96개로 오히려 줄었다. 기존 105개 업체 중 37개 업체가 참여의사를 철회했고 29개 업체가 새로 참여의사를 밝혔다”며 참여 기업수를 늘려 공익성을 높이려던 당초 취지가 퇴색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1조8천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사업임에도 기업ㆍ하나ㆍ신한은행 등 대형 금융그룹이 참여를 포기했고, 1차 공모 당시 금융 관련 업체는 15개 안팎이었지만 2차 공모에선 그 숫자가 절반으로 줄어든 것도 도마에 올랐다.

음 의원은 “특정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될 것이라는 말이 업계에 파다하다”며 “다수의 업체들이 들러리를 서기 싫어 사업 참여를 포기하고 있다. 이는 공익성 제고가 아닌 사익성 제고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박달스마트밸리 민간사업자 선정을 내년 지방선거 이후까지 중단해줄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최대호 시장은 “이미 참여의향서를 접수했던 업체는 그대로 인정된다”며 “이를 사업 참여 포기라고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은 국방부와의 기부ㆍ양여 사업으로 안양시와 안양도시공사가 50% 이상의 지분을 확보해 공익성을 제고하고 민간의 과도한 수익을 제어한다”며 “일정액을 넘는 초과수익은 기재부에 반납하게 돼 있어 대장동과는 전혀 성격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안양시 등은 지난 8월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에 참여할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으나 지난달 돌연 공모를 취소하고 재공모 절차에 들어가면서 논란을 자초한 바 있다.

더욱이 대장동에서 1천억원이 넘는 배당금을 챙긴 화천대유 관계사 천화동인 4호(소유주 남욱)가 이름만 바꾼 채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에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파장이 일었다.

이에 대해 안양시민 박진남씨는 “안양시가 시민의 세금으로 제대로된 사업을 하고 있는지 참으로 우려가 크다”며 “민간사업자 공모를 취소하고 재공모에 들어갔다는데 제대로된 행정을 펼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민 임성진씨는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의 성격이 대장동과 다르다는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해명될 필요가 있어보인다”면서 “사업 참여 포기가 이어지는 점에 대해서도 보다 분명한 이유가 나와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안양=한상근ㆍ노성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