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사는 사람이 많아진다더니, 1인 세대 비중이 40%를 넘었다. 핵가족이란 단어는 옛말이 됐고, ‘나 혼자 산다’가 주류 거주형태가 되고 있다. 고령화와 비혼, 저출산, 개인주의 확산 등의 여파다.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주민등록상 1인 세대는 936만7천439세대로 40.1%를 차지했다. 2인 세대는 556만8천719세대로 23.8%이고, 4인 이상 세대(19.0%)와 3인 세대(17.1%)가 뒤를 이었다. 1ㆍ2인 세대 비중 합계가 63.9%로 절반을 훨씬 넘었다.
옹기종기 모여 살던 전통적인 한국사회의 가족 개념이 확 달려졌다. 과거의 가족은 조부모, 부모, 자녀로 이어진 3대 형태였다. 이후 부모와 자녀로 이뤄진 핵가족 시대로 변화돼 3~4인 세대가 주류를 이뤘다. 이제는 1인 세대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1인 세대 중에는 고령화가 가속하면서 홀로 남은 노인이 가장 많았다. 70대 이상 여성이 총 127만9천세대로 전체 1인 세대의 13.7%를 차지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사는 데다 아직 거동이 가능해 자녀와 함께 살지 않으면서 1인 세대로 남았을 가능성이 크다. 30대 미혼남 증가도 1인 세대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30대 남성은 총 98만7천세대로 10.5%다. 통계청의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 결과’에 따르면 30대 남성의 미혼 비율은 지난해 50%를 넘어섰다. 취업이 늦어지면서 결혼이 어렵고 부동산 문제가 영향을 끼쳤다.
1인 세대 증가는 사회적 문제라기 보다 새로운 현상이다. 1인 세대 증가는 ‘일코노미족’ 증가로 이어져 유통가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다. 경제활동 중심축이 1~2인 가구로 넘어가면서 유통 및 식품업체도 이런 현상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조세ㆍ복지제도 등 많은 정책이 3ㆍ4인 가구 중심이었다. 이젠 인구 감소와 고령화, 1인 세대 증가 추세에 맞게 조세ㆍ복지ㆍ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 1인 세대가 정책적 사각지대에 방치되지 않게 사회적 관심과 행정시스템 개편 등이 필요하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