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와 대중교통 공공성 강화를 위한 경기공동행동 등이 용인경전철의 다단계 운영구조 관련 공영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30일 용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 세금으로 민간회사 배불리는 다단계 운영 이제 그만하고, 용인시가 직접 운영해야 한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석주 용인경전철지부장은 “최근 용인경전철 열차고장ㆍ스크린도어사고와 칸사스 사모펀드 고금리 혈세 투입, 다단계 운영문제 등이 지적되는 가운데 시민들의 안전과 밀접한 대중교통인 용인경전철의 공공성 확보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민간위탁은 운영이 불투명하고 감시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지자체가 직접 운영에 개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용인경전철 운영구조는 용인시가 용인경량전철에 시행사를 맡겨 네오트랜스가 위탁 운영하는 방식이다.
특히 백군기 시장이 지난해 시의회 시정질의에 대한 답변에서도 개선의지를 표명한 바 있어 민자투자금 조기상환으로 용인경전철 공영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이 밖에도 별도요금 200원 폐지와 고금리 사모펀드 청산 등도 촉구했다.
용인경전철지부는 서명운동을 진행 중인 가운데 현재 시민 5천638명이 참여했다. 서명인원이 3만명에 도달하면 시에 전달할 계획이다.
경기공동행동 역시 민간철도의 다단계 운영구조의 문제점에 동감했다.
김헌수 위원장은 “용인경전철은 하루평균 3만명이 이용한다. 타 지역에 비해 중·전철이 지나가지 않는 처인구에선 필수 교통매체“라며 “현재는 다단계 민간위탁운영으로 한해 100억원 이상 세금을 이자상환과 다단계 운영에서 발생하는 부가비용으로만 낭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직영제를 한다면 매년 최소 세금 30억~5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민간투자비 원금을 조기상환하고 용인시가 직접 운영하면 상환금은 경기지역개발기금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민간투자비의 조기상환은 예산문제로 불가능하다. 용인경전철 공영화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