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관계자 "성남 대장지구와 유사하게 추진하려 했지만 금융환경 많이 변해"
안양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박달 스마트밸리(서안양 친환경 융합)’ 사업자 공모 과정에서 특혜 의혹(경기일보 9월3일자 1면)이 불거진 가운데, 도시공사가 진행 중인 민간 사업자 공모를 돌연 취소했다. 안양시는 조만간 재공모에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22일 안양시와 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도시공사는 지난 16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익성 재고, 절차 지연으로 인한 공백의 최소화, 관련 기관과의 의사 조율’ 등을 위해 부득이하게 민간 사업자 공모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일원 328만㎡ 규모의 부지 가운데 114만㎡는 기존 탄약고를 지하화해 국방부에 기부하고, 나머지 부지(213만㎡)에는 4차산업 중심의 최첨단산업과 주거ㆍ문화시설을 갖춘 스마트복합단지를 조성한다.
도시공사는 지난달 5일 민간 사업자 공모를 냈다. 공모에는 현대건설, GS건설, 포스코건설 등 시공 능력 평가액 기준 국내 상위 10위권 대형 건설사 등을 포함한 105곳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도시공사는 11월17일까지 민간 사업자로부터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은 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공모사업 관련 ‘질의접수 및 회신’ 기간 동안 여러 민원이 발생했다. 특히 도시공사는 민간사업자 공모지침서 중 재무적 출자자 조건을 제한적으로 명시(7천억원 이상 금융주간 및 1천500억원 이상 대출)해 29곳으로 범위를 넓혀도 요건을 충족하는 금융기관이 단 4곳으로 국한되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출발부터 진입 장벽이 생겨 사업에 선정될 수 없는 구조라고 날 선 비판을 가했다. 또한 일부 세부 조항이 최근 논란이 불거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사업 등과 유사해 평가 기준 수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이에 안양시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평가방식을 변경해 사업자 재공모에 들어간다는 견해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성남 대장지구 개발방식과 비슷한 형식으로 이번 사업을 추진하려 했지만, 당시와 지금의 금융환경이 많이 변한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재공모를 통해 금융기관 참여희망자가 많아져 참여 폭을 확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상근ㆍ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