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광복절 한반도기 게양 논란…시의회 도마위

7일 열린 제269회 안양시의회 임시회에서 김필여 국민의힘 대표의원이 광복절 한반도기 게양 논란과 관련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노성우기자
7일 열린 제269회 안양시의회 임시회에서 김필여 국민의힘 대표의원이 광복절 한반도기 게양 논란과 관련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노성우기자

최대호 안양시장과 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이 광복절 한반도기 게양논란을 두고 또다시 충돌했다.

앞서 안양시는 남북교류협력기금 지원사업의 하나로 남북교류협력위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6ㆍ15 공동선언실천 경기중부본부 주관으로 지난달 13~18일 광복절 공감평화공원 조성행사로 평촌중앙공원 둘레길 등지에 한반도기와 평화기원걸개 등을 게양했었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시민사회단체, 시민 등을 중심으로 광복절 한반도기 게양의 적절성이 도마 위에 올랐었다.

7일 안양시의회에 따르면 김필여 국민의힘 대표의원은 지난 6일 열린 제269회 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6ㆍ25전쟁 관련 단체분들의 항의 전화를 많아 받았다. 한 퇴역군인 어르신은 한반도기 게양에 우려하시는 말씀 도중 ‘어떻게 지켜온 우리나라냐’고 눈물을 흘리셨다. (이번 논란으로) 밥도 못 드시고 잠도 못 주무셨다고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남북교류협력 가로막는 대북제재 해제하라’ 같은 슬로건이 담긴 평화걸개가 내걸린 데 대해 “대북제제가 생긴 이유는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슬로건을 본 많은 시민들은 북한을 옹호ㆍ대변하는 의도가 포함된 한반도기 (행사)라고 오해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당 음경택 의원도 최 시장이 모 라디오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여ㆍ야, 진보ㆍ보수를 막론하고 충분한 논의와 심의를 거쳤다”는 해명 발언에 대한 입장을 요구했다.

음 의원은 “이번 행사는 남북교류협력기금 조성 목적에 맞지 않는 행사라고 분명히 반대의사를 표명했었다”며 “국민의힘과는 사업 관련 논의를 한 적도, 협력을 요청받은 적도 없었다. 보수와 진보 간 심도 있는 심의가 됐다고 말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최 시장은 “지역 내 주요 도로변에 태극기 4천500기를 걸었고 평촌중앙공원 둘레길 일부에 한반도기 53기가 게양됐다. 마치 안양시가 태극기 대신 한반도기를 게양했다고 보도돼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 남북교류협력사업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사업의 당위성을 재차 강조했다.

안양=노성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