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택배 갈등, 대리점주 죽음 놓고 ‘책임 공방’

김태완 택배노조 수석부위원장이 CJ대한통운 김포지역 대리점주가 숨진 사고에 대한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완 택배노조 수석부위원장이 CJ대한통운 김포지역 대리점주가 숨진 사고에 대한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택배업계의 갈등(본보 2일자 1면)이 대리점주의 극단적인 선택에 대한 책임 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30일 노조를 원망하는 유서를 남기고 숨진 CJ대한통운 김포 장기대리점주 사건과 관련해 일부 조합원의 괴롭힘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다만 노조 측에서 고인에게 대리점을 포기하라고 요구한 사실은 없고, 원청 지사장의 요구로 대리점 포기 각서를 제출한 사실이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김태완 택배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해당 대리점에서 노동조합이 설립된 올해 5월 이후 단체 대화방에서 나온 대화를 조사했다”며 “일부 조합원이 고인에게 인간적 모멸감을 줄 수 있는 내용의 글을 단체 대화방에 게재했지만, 폭언ㆍ욕설 등은 없었다”고 말했다.

CJ대한통운 김포 장기대리점의 점주였던 A씨는 노조가 물품 배송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면서 갈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원청 CJ대한통운에 대리점 포기 각서를 냈는데 그 기한은 숨지기 전날이었고, 이를 두고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회 측은 노조와의 갈등 탓에 점주가 숨지는 비극이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택배노조는 CJ대한통운 김포지사장의 통화 녹취록을 공개하며 사측의 책임이라고 맞섰다. 녹취록에는 ‘저는 제 목표대로 고인이 장기대리점에 발 못 붙이게 하려고 새로운 점주를 뽑은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노조와의 갈등이 아니라 지사장 때문에 고인이 대리점 운영을 포기했다는 게 노조의 입장이다.

택배노조 관계자는 “고인은 집을 매각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리점을 운영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있었으나, 지사장이 마지막 소망마저 짓밟았다”며 “노조와 갈등이 있던 점에 대해서는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을 지겠으나, 죽음에 대한 결정적인 원인 제공자는 CJ대한통운”이라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