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에 내년 말 전철과 자동차전용도로가 개통하면서 서울길이 1시간대로 좁혀진다.
지난해 6월 파주 문산∼연천∼포천∼가평 청평 73㎞를 동-서로 연결하는 국도 37호선 전 구간 개통에 이어 남-북을 잇는 교통망까지 대폭 확충되기 때문이다.
24일 연천군에 따르면 경원선 동두천∼연천구간(20.9㎞) 복선전철공사와 서울경계부터 의정부∼양주∼동두천을 거쳐 연천까지 36.7㎞를 남-북으로 잇는 국도 3호선 대체우회도로 공사가 각각 내년말 완공한다.
경원선 전철은 현재 소요산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천 주민들은 소요산역에서 기차나 버스로 갈아타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은 10량 1편성 열차가 용산까지 하루 왕복 88회 운행한다.
전철이 개통하면 연천에서 용산까지 1시간 40분이면 갈 수 있다.
우선 단선으로 개통하나 복선을 전제로 공사 중이며 향후 철원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지난 1999년부터 신규 도로로 건설 중인 국도 3호선 대체우회도로 개설공사도 내년 말 완료된다.
서울 경계부터 동두천 안흥까지는 개통된 상태로, 안흥∼연천 청산 구간 6.7㎞ 구간만 공사가 남아있다.
해당 구간은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터널 위주로 건설되는데, 터널이 모두 관통한 상태다.
올해 300억원에 이어 내년 300억원이 추가로 투입되면 내년말 준공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도로 모든 구간이 개통하면 서울 경계에서 연천까지 차로 30∼40분이면 갈 수 있고 강원 철원까지도 1시간 이내면 도착할 수 있다.
연천은 그동안 접경지라는 특수한 환경에 있는데다 교통 인프라마저 부족, 매년 인구가 감소하는 등 발전에 한계가 있었다.
군은 동-서 연결 도로에 이어 전철, 자동차 전용도로까지 개통하면 기업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광철 군수는 “국도 37호선 개통으로 구리∼포천 고속도로를 이용, 강남까지 1시간 20분 내 접근이 가능해졌는데 전철과 자동차전용도로까지 개통하면 서울이 1시간 이내로 가까워지게 된다”고 말했다. 연천=박정열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