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치료 위해 균주 파악 우선... 6개월 이상 약물 복용할수도 있어, 개선 안될 땐… 추가적 검사 필요
여름이 되면 약국에서는 손발톱 무좀 치료를 위한 항진균제의 처방을 많이 접하게 된다. 진균(fungus)의 세포막은 사람들의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이다. 혈관에 쌓이면 나쁘지만, 콜레스테롤이 없으면 사람은 세포막을 만들 수 없다. 항진균제의 원리는 진균(곰팡이)의 세포막 요소인 에르고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균주의 파악이 우선 되어야 한다. 주로 효모(yeast) 즉 칸디다균과 피부 사상균 이 두 가지다. 진단은 사상균인지 효모 즉 칸디다균 인지 혹은 어떤 진균과도 무관한 질환인지의 판단이 우선 필요하다.
피부나 점막에 사용되는 경구용 항진균제는 3종류다.
피부 사상균에는 테르비나핀 (Terbinafin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이 추천되고 있다. 테르비나핀의 유명한 브랜드는 라미실이다. 연고도 있고 1일 1정을 6개월 복용하는 정제도 있다. 이트라코나졸은 상황마다 복용법이 다르지만 6개월 이상도 복용이 필요하다.
효모균에 사용하는 항진균제는 사상균에도 치료가 가능한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과 플루코나졸(fluconazol)이다. 플루코나졸은 효모균에 처방하는 첫 번째 선택 약물이다. 플루코나졸의 대표적인 상품명은 디푸루칸이다. 1주일에 50mg을 3캅셀이나 150mg 1 캅셀을 단 1회 복용하는 약물은 모두 플루코나졸이다.
손ㆍ발톱 항진균제는 6개월 정도의 충분한 기간으로 복용하는 약물이어서 복약 순응도가 좋지 못하다. 그래서 간혹 간편성만 강조하여 주 1회 요법 항진균제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복약 편의성만 강조하다보면 정확한 균주 파악이 안 되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정 기간 복용 후에도 증상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병원이나 약국에서 상담 후 추가적인 검사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다시 받아보는 것도 필요하겠다.
박정완 약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