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업체를 밀어줬는지, 공정한 절차를 밟았는지 면밀히 검토할 것입니다.”
여주시의회가 600억원 규모의 환경기초시설 관리대행용역사 선정 과정이 불공정하게 진행됐다며 ‘행정 조사권’ 발동을 요청했다.
여주시의회 이복예 의원과 김영자 의원은 15일 시 하수사업소를 상대로 진행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4일 여주시 공공하수처리시설 관리대행 용역사 선정과 관련, A업체를 밀어주기했다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용역사 선정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할 것을 부시장과 하수사업소장에게 촉구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A 업체가 선정된 것은 불공정으로 볼 수 밖에 없어 ‘행정 조사권’ 발동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들 의원들은 또 “A 업체 등 3개업체가 선정된 것은 하수사업소장 지인과 비선 실세 등이 이들 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행위로 볼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사업의 입찰공고를 진행하기 전부터 논란이 일었던 선정위원은 여주시 공무원 2명과 외부 지자체 공무원 2명(부서장), 교수 1명, 관련분야 전문가 2명 등 모두 7명으로 구성, 공무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찰 참여업체 한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된 A 업체 등 3사를 제외한 입찰참여 업체들은 제안서를 내면서도 들러리 서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며 “업계에서 나돌던 ‘이미 끝난 게임 아니냐’는 말이 현실이 됐다”고 지적했다.
여주시 환경기초시설 관리대행 용역비는 연간 125억여원, 5년간 6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사업이다.
이에 대해 여주시 하수사업소장은 “공정하고 정당한 절차를 밟아 입찰과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며 “대형사업이다 보니 다소 잡음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번에 선정된 업체 3곳은 사업을 수행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여주시는 오는 8월 말 계약이 만료되는 600억원 규모의 환경기초시설 관리 위탁을 위해 지난 4일 A업체 등 3사를 선정, 5년간 여주지역 38개 공공하수처리시설과 하수관로 등을 관리할 예정이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