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동희영 의원이 지난 11일 열린 제286회 광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철도사업과 관련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광주시가 시민이 그토록 원하는 철도사업을 추진하며 기본이 되는 사전타당성 검토조차 실시하지 않는 등 현황파악조차 하지 못한 채 방관자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공세에 나섰다.
동 의원은 “광주시는 지난 2017년 민선6기 조억동 전 시장이 공약사업으로 추진 중이던 신사-위례-성남-광주-오포 광역철도 사업을 시민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없이 폐기했다”며 “그 결과 2017년 이후 위례-삼동 연장노선에 대해 어떠한 준비도 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꼬집었다.
이어 “신동헌 시장은 민선7기 출범 이후 위례-삼동 노선 연결에 대한 성남시의 물음에 동의했다. 하지만 이 노선을 태전과 오포까지 연장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검토는 없었다”며 “결국, 성남시와 국토부, 국회만 쳐다볼 뿐 기초지자체에서 처리해야 할 일련의 용역검토도 하지 않은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대광위(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위례-삼동 노선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당시 임종성, 소병훈 국회의원의 요청에 따라 태전과 오포지역 연장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졌으나 타당성이 부족했다고 한다”며“위례~삼동 연장노선을 태전과 고산 등 오포지역으로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결과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 본 계획에 위례~삼동 노선을 태전동이나 오포까지도 끌어올 수 있는 단초가 됐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동 의원은 “광주시는 위례-삼동 노선을 태전까지, 오포까지 끌어올 경우 타당성이 얼마나 나오는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조차 파악을 못 하고 있다”며 “방관자적 자세에서 벗어나 철도망 구축계획을 위한 전략구상을 명확히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광주시와 관련된 철도사업은 삼동-용인, 위례-삼동, 오포-분당, 수서-광주, GTX A와 D노선 등 6개 노선이다. 이 중 수서-광주 복선전철 사업은 확정됐고, 위례-삼동 노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사업에 반영될 예정이다. 삼동-용인-안성 노선은 추가검토사업으로 제시되며 삼동-용인 구간을 우선 추진사업으로 본 계획에 반영해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