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는 하남 교산신도시 예정지구의 절반 이상이 문화재 발굴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져 사업 지연이 우려된다.
하남시는 최근 열린 제4회 교산신도시 예정지구 문화재 민ㆍ관ㆍ공 협의회에서 “문화재청 지표조사 결과, 교산신도시 예정지구 전체 면적 649만1천155㎡m 중 56%인 361만9천20㎡가 문화재 발굴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신도시 개발 예정지 가운데 개발면적 절반이 넘게 문화재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이 내려진 곳은 교산신도시가 유일하다.
유형별로는 표본조사 35곳(136만8천737㎡), 시굴조사 50곳(220만9천861㎡), 발굴조사 5곳(4만422㎡) 등이다.
문화재청도 앞서 지표조사 종합보고를 통해 “교산신도시 예정지구 내 분포하는 문화재와 유적 등을 다수 확인했다. 지표조사 15건과 입회조사 21건, 표본조사 10건, 시ㆍ발굴조사 160건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새롭게 파악된 유적도 있다. 천현동 교산지구 유물산포지1(천현동 산13-6 일원) 3만7천602㎡와 천현동 교산지구 유물산포지2(천현동 115) 5만838㎡, 천현동 교산지구 유물산포지3(천현동 428) 3만9천881㎡, 천현동 교산지구 유물산포지4(천현동 93) 2만6천726㎡ 등 4곳으로 모두 15만5천47㎡에 이른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토지보상 종료 후 지장물 철거 등 경과에 따라 교산지구 일대에 대한 표본ㆍ시굴ㆍ발굴조사 등을 착수할 예정”이라며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이 다소 지연될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교산신도시 예정지구 반경 500m 이내에는 이성산성(국가사적 422호), 동사지(사적 352호),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12호), 동사지 삼층석탑(보물 13호),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보물 981호) 등이 자리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