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역북지역주택조합 개발사업이 지연되면서 역삼초ㆍ중 설립에 제동이 걸렸다.
특히 역북지역주택조합을 비롯해 인근 5개 주택조합이 학교설립을 공동 추진하는 만큼 향후 수천세대 입주 시 입학대란도 우려된다.
앞서 역북지역주택조합은 횡령ㆍ배임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으면서 조합원들이 피해를 호소(본보 25일자 10면)한 바 있다.
25일 용인교육지원청과 역북지역주택조합(역북2지구) 등에 따르면 역북2지구와 용인역북지역주택조합(역북3지구), 신대지구 등은 준공 후 수천세대 입주가 예상돼 지난 2019년부터 용인교육지원청, 용인시 등과 역삼초 설립을 협의해왔다.
다만 세 지구가 학교 설립을 공동 추진하더라도 세대원 수가 3천600여세대에 불과, 초등교 설립기준인 4천세대를 넘기 어려웠다.
이에 용인교육지원청은 대안으로 인근 주택조합을 포함, 역삼초등교와 역삼중학교 등을 통합 운영하는 역삼초ㆍ중 통합학교를 추진해왔다. 인근 주택조합 세대원 수를 합해 학교설립기준을 충족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설립기준은 입주자 공고모집을 이행한 지구에 한정, 세대원 수를 기준으로 하며 통합학교 추진에는 역북2ㆍ3지구, 신대지구, 삼가2지구, 역삼지구 등이 포함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 역북2지구가 검찰 조사로 통합학교 설립사업에서 이탈하면서 역삼초ㆍ중 설립이 불투명해졌다.
통합학교 설립을 위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를 통과해야 하는데, 역북2지구 사업이 지지부진해지면서 교육부 심사기준인 세대원 수 문턱을 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현재 입주자 공고가 난 지구를 기준으로 세대원 수는 1천800세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 개교를 목표로 했던 통합학교는 올해 역북2지구 입주자 모집공고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개교가 미뤄지거나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용인교육지원청은 역북2지구 수사 결과에 따라 최소 2025년까지 학교 설치가 미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역북지역주택조합 관계자는 “조합원들에게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검찰조사 결과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추후 조합 측과 대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