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숙원사업인 시화호 송전철탑 지중화와 관련, 바지선을 이용하면 기존에 제시됐던 사업비의 10분의 1로도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태순 안산시의원은 시의회가 20일 개최한 시화호 철탑 지중화 관련 간담회에서 “바지선을 이용할 경우 영흥도~시화호 방조제 구간과 시화호 방조제~?탑 끝나는 구간 등은 구간별로 각각 1천200억원과 800억원 등으로 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종전까지는 시화호 송전철탑 지중화에 많게는 1조원에서 적게는 8천억원의 사업비가 예측됐다. 이와 비교하면 10분의 1 정도의 사업비로도 지중화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간담회에선 시화호 송전철탑을 지중화할 경우 시화호 유역 3개 지자체에 2조2천여원의 생산ㆍ부가가치는 물론 12만명 고용효과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의 송전철탑 개선타당성 검토용역 결과보고서도 공개됐다.
이와 함께 송전철탑 지중화 사업비 분담사례로 제시된 의정부 변전소 지중화사업(5,4㎞)에는 2천억원이 투입됐지만 한국전력공사가 58%, 나머지는 의정부시가 부담했다며 지자체가 요구한 지중화사업의 경우, 지자체가 많게는 55%에서 적게는 42%를 부담,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시화호는 지난 1987년부터 7년 동안 추진된 방조제 물막이공사를 끝으로 안산ㆍ시흥ㆍ화성 등에 걸쳐 56.5㎢ 규모로 조성됐다.
이 과정에서 시화호에 동~서를 가로지르며 송전철탑 51개, 고압송전선 15개 등이 설치됐다.
이 때문에 시화호 송전철탑이 시화호의 관광자원화사업에 걸림돌이 되는데다 매년 시화호를 찾는 철새 20만여마리에게도 위협이 된다는 지적도 제기돼왔다.
박태순 의원은 “한전은 17년 전 시화호에 철탑을 설치할 당시 철탑으로 인한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키로 했는데 그 약속을 꼭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前)시화호 유역의 지속가능발전 계획 수립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주관했으며. 위원장은 박태순 의원이 맡고 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