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쌍령근린공원 등 장기미집행 명품공원 시민 품으로

쌍령근린공원 등 광주도심 내 장기미집행 공원부지가 명품공원으로 조성된다.

광주시는 중앙공원과 송정공원 등에 이어 2단계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으로 추진 중인 쌍령ㆍ양벌ㆍ궁평근린공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심사 결과 쌍령근린공원은 아세아종합건설 컨소시엄, 양벌근린공원은 제일건설주식회사(단독), 궁평근린공원에는 모아건설산업주식회사 컨소시엄 등이 각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7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 시효가 해제되면서 난개발 위기에 처했던 지역 내 공원 5곳이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통해 시민 휴식처로 새롭게 태어난다.

시는 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와 사전협상 절차를 거쳐 시민이 염원하는 쾌적하고 여유로운 공원조성은 물론 도로 등 기반시설과 문화체육시설 등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명품공원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2단계 민간공원특례사업 철회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특혜 의혹 등을 제기했던 시의회와 사업제안서 접수를 앞두고 집행정지가 이뤄진 쌍령근린공원 집행정지 가처분소송에서 시가 승소하는 등 여러 의혹들이 해소된 만큼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추진 중인 1단계 민간공원특례사업인 중앙공원은 부지 45만㎡에 미래문화관, 역사박물관, 잔디마당 및 문화원과 농악단 등이 조성된다. 부지 13만㎡ 규모 송정공원에는 평생학습관 등이 오는 2025년까지 조성된다.

쌍령근린공원은 51만㎡, 양벌근린공원은 27만㎡, 궁평근린공원은 25만㎡ 등을 개발하며 오는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신동헌 시장은 “공원 5곳 조성을 통해 녹지축 형성과 더불어 도로 등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삶과 문화가 어우러진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민선 7기 역점사업인 관광진흥사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민간공원특례사업은 건설사들이 공원일몰제 시효 종료 대상인 공원부지를 국가ㆍ지자체ㆍ개인으로부터 사들인 뒤 부지의 일정 부분을 공원으로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하고 나머지 공간에 비공원시설(아파트)을 지어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광주=한상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