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지역이 최근 고령화 현상으로 출생률은 낮고 사망자는 늘면서 지방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공도읍 등 15개 읍ㆍ면ㆍ동을 대상으로 인구변화와 관련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인구 18만7천여명 중 초고령 인구비율이 17.5%이고 사망률은 지난해 처음으로 출생률에 비해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고령화는 서운면이 34.4%로 가장 높았고 고삼면 32.8%, 양성면 32.1%, 보개면 32%, 일죽면 3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곳은 공도읍으로 11%였다.
안성1동과 안성2동, 안성3동, 대덕면 등 도시화지역을 제외한 면단위에서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거주인구도 안성 전체인구의 71.4%가 도심화된 공도읍과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 대덕면 등지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인구거주 집중과 지역 불균형 발전에 따른 고령화 구조는 출생률에 비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심권인 서부권(공도읍)과 중부권(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 대덕면) 등은 출생률이 높았고 사망률은 공도읍이 1위에 나머지 14개 동ㆍ면은 큰 격차가 없었다.
지난 2016년 출생률 1천426명은 불과 4년여 만인 지난해 12월 기준 785명이 감소한 651명으로 나타났다.
도심과 농촌 인구격차는 지역발전과 병원, 일자리, 교육, 문화 등의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김보라 시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ㆍ주거ㆍ문화ㆍ교통ㆍ행정ㆍ복지ㆍ농업ㆍ환경ㆍ관광 등 권역별 맞춤발전계획을 설정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