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유지관리에만 30년간 4천6백명 일자리 창출·균형발전↑
“서울과 양평 접근성 향상으로 관광 물류수송 및 일자리·지역균형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동균 양평군수는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것과 관련해 30일 군청 4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서울 송파구에서 양평군 양서면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27km의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오는 2031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는 국책사업이다.
예상 총 사업비는 1조4018억원이다.
국토교통부 타당성 조사, 노선 결정, 총사업비 산정,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된다.
사업이 정상 추진되면 2025년부터 본격적인 보상과 공사가 시작돼 2032년 개통될 예정이다.
앞서 군은 지난 2008년 민간투자 제안으로 서울~양평 고속도로사업을 추진했으나 비용대비 편익(B/C)과 수익성 부족 등으로 통과 기준을 넘지 못했다.
이에 군은 인근 광주·하남시와 MOU를 체결하고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을 방문해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추진에 대한 필요성과 당위성을 피력해 왔다.
지역에서도 사회단체가 중심이 돼 주민 1만4천882명으로부터 받은 서명부를 기재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군은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주말이면 차량이 밀리면서 심각한 정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서울-양평간 국도 6호선의 교통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건설 분야에서 1만1천명, 도로 유지관리 관련와 관련해 향후 30년간 4천여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만 명의 방문객 유발 효과도 있어 관광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동균 양평군수는 기자회견에서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양평군 뿐 아니라 관광객 증가 등의 효과를 통해 낙후된 경기 동부지역 전체의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상습 교통체증이 일시에 해소돼 서울 강남에서 양평까지 20분 내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라며 “관광객과 유입인구가 늘어나고 각종 규제로 낙후돼 있는 양평의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평=황선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