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막힘·재채기 1시간 이상 지속되면… 알레르기 비염 의심을
결막염은 병원 조기 방문하면 치료 간단… 냉찜질도 효과적
야외 활동이 늘면서 알레르기성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꽃가루나 미세먼지 등이 원인으로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을 주의해야 한다.
■콧물과 재채기…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 비염은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하루 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알레르기 비염일 가능성이 크다. 한쪽만 코가 막히거나 노랗고 끈적끈적한 콧물이 나오고, 코피가 잦다면 알레르기 비염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알레르기 비염을 방치하면 부비동염(축농증), 후두염은 물론 만성적인 후각장애 등 심각한 질환으로 커질 수 있다. 꽃가루 등에 의한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은 노출 직후 증상이 나타나고 집먼지진드기 등에 의한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은 아침 일찍 증상이 심하다.
알레르기 비염을 막으려면 집먼지 진드기를 예방하기 위해 베개와 침대 매트리스 등은 커버로 감싸고, 이불과 옷 등을 뜨거운 물로 자주 세탁하는 게 좋다.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날에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눈 가렵고 부어오르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덮은 점막조직인 결막에 알레르기 원인 물질로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동물의 털이나 먼지, 꽃가루, 황사, 집 먼지 진드기나 차량의 배기가스나 화학분진, 공해물질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눈이 매우 가렵고, 눈곱이 끼며, 심한 충혈과 함께 눈물이 나오거나 눈부심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 즉시 조기에 병원을 찾으면 안약 및 먹는 약으로 간단히 치료될 수 있다. 무엇보다 생활 속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실내는 자주 환기를 시키고, 침구류는 햇볕에 자주 말리며, 동물의 털이나 집먼지 등을 제거해 집안 위생을 항상 청결히 만든다. 또 창문을 열어 환기를 자주 하되, 황사나 미세먼지에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은 공기청정기를 활용하며 외출은 삼가도록 한다.
이영순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지부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증상 완화를 위해 눈 주위에 냉찜질을 해줘도 좋고, 안구건조증이 함께 있다면 인공눈물 약을 사용해도 좋다”고 했다. 이어 “평소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포함해 비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환절기마다 나타난다면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항원확인을 받아 그 항원을 피하는데 생활 속에서 노력하면 알레르기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