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heohy@kyeonggi.com
기자페이지

일본 남서부 시마네현(島根縣)을 찾은 건 10여년 전이었다. 당시도 독도문제로 시끄러웠다. 현청 소재지인 마쓰에시(松江市)에서 오키(隱岐) 제도행 배를 타기 위해 선착장을 찾았다. 오키제도는 독도처럼 동해에 위치한 외로운 섬들이다. 곳곳에는 ‘다케시마(竹島)는 일본 땅’이라고 적힌 유령단체 명의의 현수막들이 즐비했었다.

▶오키제도도 마찬가지였다. 주도(主島)인 도고(島後)는 물론 섬들 곳곳에서 비슷한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찾기는 어렵지 않았다. 오키제도 주민들의 생업은 어업이다. 고기를 잡는 바다는 물론 독도 인근이다. 이곳에서 독도까지는 불과 158㎞다. 섬 곳곳의 풍광이 낯설지 않은 까닭이었다.

▶복수의 주민들에게 조심스럽게 물었다. “독도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대답은 비슷했다. “한국 땅일수도 있겠죠.” 정부 입장에 굳이 토를 안달겠다는 뜻이다. 내심은 ‘어느 나라 땅이든 관심없다’이지 않을까. 그때나 지금이나 일본 정부는 한결같다. 독도문제를 놓고도 그렇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성물질을 포함한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방류방침을 정했다. 2년 뒤 실행을 목표로 규제당국 승인과 관련시설 공사 등으로 오염수 해양방류를 준비한다는 복안이다. 해양방류는 30~40년 동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난 건 지난 2011년이었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폭발사고가 그 발단이다. 이후 원자로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됐다. 현재도 하루평균 오염수 140t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중순 기준으로 오염수 125만844t이 보관돼 있다. 문제는 오염수를 다핵종 제거설비로 처리해도 삼중수소(트리튬)라는 방사성 물질은 그대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해양방류에 따른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물론 일본 내부에서의 반발도 심상찮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는 국민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는 단 한 차례도 열지 않았다.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는 단순하지 않다. 바다도 흐르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바다만 오염시키는 게 아니다. 정말 모르는 걸까. 도대체 배려를 모르는 상식 이하의 사고방식을 가진 국가를 언제까지 이웃으로 두고 살아야 하는 걸까.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