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찾는 통풍 환자 8년간 3.3배↑

한림대성심·동탄성심병원 김현아·손경민 교수팀, 환자 분석
30~40대 젊은 환자 급증… 남성 발병률 여성보다 9배 높아

통풍에 의한 급성발작으로 응급실까지 찾는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풍 환자의 건강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의료계는 분석한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손경민 류마티스내과 교수와 김현아 교수(성심병원) 연구팀이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한 통풍 및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병원 방문 및 의료비 추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국내 최초로 통풍 환자들의 병원 내원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통풍환자의 연간 유병률은 2010년 10만 명당 2천433명에서 2017년 3천917명으로 1.6배 증가했다. 남녀 비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9배가량 높았다. 이중 통풍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수는 2010년 10만 명당 6.28명에서 2017년 21명으로 3.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통풍환자의 외래치료 증가율 1.7배, 입원치료 증가율 1.3배에 비해 월등히 높다. 연령별로는 30대가 4.5배, 40대가 3.6배 급증해 젊은 통풍 환자들의 응급실 이용이 느는 것으로 확인됐다.

통풍 환자의 응급실 치료비용은 2010년 1회당 평균 55만원에서 2017년 30만원으로 45%나 감소했지만, 환자 수의 증가로 같은 기간 총비용은 149억원에서 403억원으로 2.7배 증가해 통풍으로 인한 국가적 의료비용이 크게 늘었다.

김현아 교수(통풍 연구회 회장)는 “만성질환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은 평소 질환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같은 만성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비교해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통풍환자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국가적인 통풍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