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교산신도시 대토 보상 신청 저조…12.08% 그쳐

하남 교산신도시 대토보상 신청 현황(3월31일 기준)

하남 교산신도시 대토보상 신청건수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교산 원주민재정착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9일 기준으로 대토보상 신청자는 375명으로 전체 대상의 12.08%가 신청했다.

용도별로는 44명이 신청한 근린생활시설용지(1만3천182㎡ 추정면적)에 높은 선호도를 보여 추정금액 대비 신청비율이 127.84%를 기록했다.

특히 주상복합용지(5만9천393㎡ 추정면적)에 264명이 몰려 가장 많은 신청자 수를 기록, 신청비율로 환산하면 72.60%로 집계됐다.

이어 상업시설용지가 17명으로 61.89%를 기록했다.

반면 자족시설용지은 42명에 2.87%, 블록형 단독주택용지는 2명에 1.33%, 공동주택용지는 6명에 0.19% 등이었다.

교육시설용지는 신청인이 전무했다.

대토보상 신청이 저조한 건 사업 종결 시까지 7~8년이 소요된다는 점과 선지급 불이행시 소액 보상자들은 대토사업을 하지 못하는 자금 리스크를 비롯해 용적률과 입지, 세대수 등이 장기간에 비해 사업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장준용 교산 원주민재정착위원장은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송파~신도시 선시공 5㎞ 구간 일반도로 미반영과 서울지하철 3호선 미반영 상태에서 대토를 신청해야 하는 ‘교통 리스크’도 한몫 하고 있다”며 “문화재 발굴로 자칫 대토사업이 상당 기간 지연되거나 아예 사업을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청이 저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주민대책위원회(비대위원장 이강봉)는 대토보상 계획 발표 시 용적율과 건폐율 등이 공고되지 않았고, 금액도 부적합한 금액으로 산정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애초 대토보상 접수마감(3월31일)을 다음달말까지 연장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