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한다. ‘終身之計 莫如植人也(종신지계 막여식인야 : 평생의 계획으로는 사람을 심는 것과 같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재상 관중이 쓴 관자에 나오는 말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입시 제도는 부침이 심했다. 입시제도가 그만큼 불안정하다는 것이며, 사회여론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해왔다는 의미다.
대학입시제도를 연혁적으로 살펴보면 대학입학예비고사·본고사병행제(1969∼1980), 대학입학학력고사·내신제의 병행제(1981∼1993), 대학수학능력고사·내신제·본고사병행제(1994∼)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틀 안에서 짧게는 1~2년마다 작은 변화가 계속 반복됐고, 당시의 수험생들은 정해진 대로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 바뀌는 제도의 희생양으로 재수나 삼수를 택할 수밖에 없는 수험생도 부지기수였다.
올해 11월18일 예정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는 선택과목제 확대에 따른 복불복 우려가 크다.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의미로,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다.
2022학년도 수능 국어와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변경된다. 즉 과거와 달리 국어와 수학이라는 주요 영역에서도 선택해야 한다.
이미 탐구 영역에서 과목 선택에 따라 표준점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선택과목제 확대에 따른 복불복 문제는 나올 수밖에 없다. 특히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1개를 택해야 하는 수학은 논란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오는 2025년에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도 큰 변곡점이다. 고교학점제를 통해 입시 중심의 교육 체제를 바꾸자는 취지이지만, 이에 따른 대학입시는 또 어떻게 바뀌게 될지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이다.
입시제도 정책이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영향에서 벗어나 교육 내적인 관점에서 비롯돼야 하지 않을까?
이명관 사회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