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세관이 평택항을 통한 전자상거래 건수가 급증,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민간 통관장 허가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이를 외면하고 있다.
21일 평택시와 평택세관 등에 따르면 지난 2019년 5월 평택항에서 전자상거래업무를 시작한 이후 지난 2월기준 평택항을 통한 해상특송 물량은 전국총 물량의 63%를 점유하고 있다.
이같은 수치를 반영하듯 특송장 개장 첫해인 2019년 150만건의 반입 건수를 나타냈는데 지난해에는 9배이상 급증한 1천350만건으로 집계 됐으며 현재는 월 140만여건이 반입되고 있다.
평택항을 해상특송 물량 급증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해외직구 물량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송 물량이 급증하자 평택세관은 특송업체가 지난해 7월이후 평택항을 통해 중국에서 반입 하려던 특송 물량을 타 항만으로 유도하는 해프닝까지 벌였다.
실상이 이런데도 평택세관은 평택항을 통해 들여오는 물량 모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민간 통관장 허가는 필요치 않다는 입장을 고수해 특송업체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특송업체들은 특송물량 해소를 위해서는 민간 통관장 허가를 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송업계 관계자는 “평택세관이 시에 3만여평의 특송장 부지를 요청 한것만 보아도 현재의 특송장으로 밀려 들어오는 물동량을 감당할수 없기 때문”이라며 “평택항에 민간 통관장 설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세관의 한 관계자는“현재 평택항을 통해 들어오는 해상특송 물량을 처리하는데에는 문제가 없다”며“민간 통관장을 허가하면 위해물품을 비롯한 밀수 등이 우려되기 때문에 허가할수 없다”고 말했다.
민간 통관장은 과중한 통관물량을 처리하고 위해 민간에서 통관 시설을 설치하고 세관이 통관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현재 인천항에서 운영되고 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